#교육기관
*삼국시대
- 고구려 : 태학(소수림왕, 최초의 교육기관), 경당(평민자제)
- 백제 : 박사제도
- 신라 : 국학(신문왕, 운영규정을 알 수 있는 최초의 교육기관, 유학과+잡과), 독서삼품과(원성왕, 국학 졸업시험)
- 발해 : 주자감
*고려시대
- 관학 : 국자감(성종, 문묘O, 유학+a) , 5부 학당, 향교(문묘O)
- 사학 : 9재 학당(최충, 문종, 향학 12도)
*조선시대
- 관학 : 성균관(문묘O), 4부 학당, 향교 (문묘O)
- 성균관 평가제도 : 원점제(출석), 시험(대통, 통, 불통)
- 사학 : 서원, 서당
#과거제도
*신라
- 독서삼품과(원성왕) : 국학의 졸업시험으로 과거제도의 전신
- 시험에서 특을 받으면 관리 임용
*고려
- 광종 대 쌍기의 건의로 시작 : 개방적인 능력주의(자격제한X)
- 유학 : 한당유학(수사적 표현, 명경<제술), 5경 중심
- 좌주문생제도 : 좌주(지공거=시험관)과 문생(좌주 주관 시험 급제자)간의 유대(학문적 아버지)
*조선
- 개방적인 능력본위 과리채용 제도
- 정기시험 : 식년시 (3년)
- 별시(비정기시험) : 증광시(경사), 알성시(왕이 성균관 문묘 참배), 정시(경사, 대궐에서 실시)
- 정기시험은 문무잡과 모두 치르지만 비정기 시험은 보통 문과만 열림
- 종류(직렬) : 문과(소과, 대과, 3차, 예조), 무과(3차, 병조),잡과(2차, 예조+해당 관청)
- 문과-소과 : 초시 지역할당제O, 생진과(생원=명경+진사=제술), 성균관 입학 시험, 합격자 백패
- 문과-대과 : 초시 지역할당제O, 합격자 홍패
#조선시대 교육 사상
*성리학
- 이상적인 인간상 : 사대부, 군자, 성인
- 교육 목적 : 위기지학=법성현 (<>위인지학)
- 내용 : 4서 5경 (4서 중심 : 대학이 첫번째)
- 교육방법 : 거경궁리, 존심양성, 격물치지, 지병행진
*성리학 대표학자
- 이황 : 경(마음) 강조, <성학십도>, <퇴계선생문집>(향교를 비판, 서원 진흥의 필요성 주장)
- 이이 : 성(몸) 강조, <성학집요>, <격몽요결>, <학교모범>(청소년 교육에 많은 관심, 첫교재로서 소학의 중요성을 강조)
- 권근 : <권학사목>(교육체제 정비, 소학교육 강조), <입학도성>(1390, 4서 5경의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)
*실학
- 실사구시 (<>거경궁리)
- 반계 유형원 : 과거제 폐지 주장 > 공거제 주장(내신+관학 강화, 중앙과 지방의 복선형 4단계 학제)
- 정약용 : <아학편>(천자문 대체 문자학습), <오학론>, <교치설>
- 최한기 : 수학교육의 중요성 강조, 추측질의(발견 학습법)
#개화기
*신식학교(근대학교)
- 원산학사(사립, 1883)
- 배재/경신학당(사립, 선교사, 1885)
- 육영공원(관립, 1886), 이화학당(사립, 선교사, 1886)
- 점진학교(안창호, 1895) : 최초의 남녀 공학 초등학교
- 보성전문학교(1905)+보성중학교(1906, 이용익) : 기술자 양성 교육
- 오성학교(이승훈, 1907), 동명학원+대성학교(안창호, 1908),
- 동문학(통역사), 광혜원(의료인), 연무원(군인)
*갑오개혁
- 교육입국조서 : 교육의 방향 제시(국가 재건, 실용적 학문, 전인교육)
- 갑오개혁 : 소학교(6년제), 한성사범학교, 외국어 학교
- 갑오개혁 이후 : 중학교 관제(1899), 기술전문학교
*을사늑약
- 사립학교령(1908)
#일제강점기
*1차 조선 교육령
- 소학교(6)>보통학교(4)
- 조선어/역사 선택과목
- 복선형 학제
- 교육의 기회감소
*2차 조선 교육령
- 복선형 학제 유지 : 중학교 진학 가능
- 조선어/역사 필수 과목
- 경성제국대학 : 민립대학 설립 운동 방해
- 서당의 수 증가
- 교육의 기회 증가 : 실질적인 증가는 아님(기만적 문화 통치)
*3차 조선 교육령
- 학제 일원화 : 단선형 학제(내선일체, 민족말살)
- 서당의 수 감소
*4차 조선 교육령
- 학생 = 예비 군인
- 학도병 지원 제도(1943)
#해방 이후
*미군정
- 교육이념 : 홍익인간
- 단선형 학제
- 의무교육 도입 논의(1946)
- 새교육 : 진보주의 교육 철학
- 발전교육론 : 행동주의+국가재건을 위한 인재양성
*1공화국
- 초등 의무교육(1950~1959)
- 교육자치제 도입(1952)
*3공화국
- 교육 자치제 폐지(1962)
- 사립학교법 제정(1963)
- 중학교 무시험 입학(1969)
*4공화국
- 고등학교 평준화 시행(1973)
*5공화국
- 중학교 의무교육(1984) : 도서 벽지부터 우선 실시
- 7.30 교육개혁(1980) : 과외 금지, 대학 본고사 폐지, 대학 졸업 정원제
*6공화국
- 9년제 의무교육 완성(1994) : 전국적 실시
- 수능 실시(1994)
- 5.31 교육개혁(1995) : 7차
- 고교 무상교육(202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