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교육철학]

2025. 4. 13. 14:33·인간/교육학

*교육학 논쟁

  1. 오코너 : 교육학은 가설연역적 체계를 갖추지 못했으므로 학문이 아님. 예우적 경칭에 불과함
  2. 헤르바르트 : <일반 교육학>, 교육학은 철학+윤리학
  3. 허스트 : 교육학은 형이상학적 가치판단을 하는 학문

*교육

  1. 어원 : 가르치다 + 기르다
  2. 비유 : 주입, 주형, 예술, 성장, 만남, 성인식
  3. 쉐플러 : 조작적 정의(정범모 : 교육은 인간 행동의 계획적 변화), 약정적 정의, 기술적 정의, 규범적 정의(바람직성)
  4. 피터스 : 규범적 준거(목표), 인지적 준거(내용:지식의 형태), 과정적 준거(방법=자발성), 합리적 마음을 계발하여 인류의 공적 전통으로의 입문 
  5. 허스트 : 실제 삶으로의 입문

*교육철학의 영역

존재론(지시의 탐구자) > 가치론(인성의 지도자) > 인식론(지식의 전달자)


*20세기 전반 교육철학

 

-프래그머티즘(듀이)

  1. 18세기 루소의 영향(자연/자유주의, 경험, 아동중심, 흥미)
  2. 교육과 아동의 현재 생활을 연결
  3. 아동의 흥미를 중시 : 교사는 아동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지식의 형태를 가공해서 제시해야
  4. 반성적 사고
  5. 민주주의 시민교육
  6. 진보주의에 많은 영향을 끼침
  7. 전통적 교육과 진보주의 교육을 모두 비판

 

-진보주의 교육철학

  1. 아동의 현실과 연결된 교육(미래준비X)
  2. 아동의 흥미를 중시 
  3. 킬패트릭 : 프로젝트 학습법
  4. 기초학력 저하 : 스푸트니크 쇼크

 

-본질주의 교육철학

  1. 진보주의 비판
  2. 스미스&베스터 : 기초교육 위원회(수학, 과학 위주)
  3. 배글러 : 본질주의 교육개혁 위원회
  4. 수학, 과학 위주의 수월성 교육
  5. 절대적이고 영원 불멸한 진리 부정 (상대적 진리관)
  6. 기초회귀 운동, NCLB

 

-항존주의 교육철학

  1. 진보주의 비판
  2. 절대적이고 영원 불멸한 진리의 존재 긍정
  3. 고대 소플아 시기로의 회귀
  4. 허친스 : 위대한 고전 읽기 운동
  5. 아들러 : 파이데이아 선언(중등교육 개혁안, 모든 사람이 돌일하게 배워야하는 교육과정이 있다)
  6. 마리탱 : 종교적 항존주의, 현대 교육을 살인을 위한 교육이라고 비판, 기독교적 진리관

 

-재건주의 교육철학

  1. 교육을 통한 사회재건을 주장 : 교사는 사회 개혁가
  2. 본질주의+항존주의 교육이 현실과 유리되는 것을 비판
  3. 행동심리학의 영향을 받음
  4. 카운츠&러그 : 새로운 사회 건설에 학교가 앞장서야 한다
  5. 브라멜드&버크슨 : 현대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과감한 사회운동으로서 재건주의를 주장

*20세기 후반의 교육철학

: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합리성에 대해 의문을 가짐(인간=/=합리적, 경제적 존재)

 

-실존주의 

  1. 실존이 본질에 앞선다 (인간은 스스로의 삶은 선택한 것. 현재 모습은 선택의 결과)
  2. 인간은 이성적 존재X, 자율성O, 주체성O > 자율성, 주체성, 책임성을 가진 존재를 길러내는 것이 목표
  3. 전인교육, 정체성 확립
  4. 볼노우 : 지속적 교육(기계적 관점, 유기적 관점), 불연속적 교육(삶의 부정적인 부분도 교육 내용에 포함시켜야 함)
  5. 부버 : 인격적 만남(나와 너 <> 나와 그것), 만남은 교육에 선행한다

 

-분석주의 

  1. 용어적 정의와 개념의 명료화
  2. 피터스 : 공적 전토으로의 입문, 지식의 형식을 구분
  3. 허스트 : 지식의 형식에의 입문 > 사회적 실제로의 입문
  4. 쉐플러 : 교육을 비유적으로 표현
  5. 라일 : 명제적 지식, 방법적 지식

 

-프랑크푸르트 학파

  1. 독일은 어쩌다 나치가 되었나 > 실증주의 비판(비판이 허용되지 않는게 문제)
  2. 호르크하이머 : 비판이 가능한 사회를 만들자
  3. 하버마스 : 도구적 합리성(방법적 합리성) > 의사소통적 합리성(목표에 대한 합의), 공론장(참여와 합의)

 

-비판주의

  1. 프랑크푸르트 학파에 영향을 받음
  2. 갈등주의와 매우 비슷함
  3. 저항이론 : 비판주의 안에 포함됨. 비판주의와 마찬가지로 세상을 부정적인 것으로 해석하지만, 저항이 가능하다고 봄
  4. 지루 : 애플보다 이론적. 학교의 문화적 중재
  5. 프레이리 : 문제제기식 교육, 프락시스(저항의 실천)

 

-포스트모더니즘

  1. 탈근대주의 
  2. 개성, 감성, 다양성, 상대성, 맥락성, 주체성
  3. 데리다 : 해체(문학작품 해석의 새로운 방법, 기존 텍스트의 의미를 깨부숨), 차연(시간이 지남에 따른 의미의 변화)
  4. 리오타르 : 소서사, 대서사
  5. 푸코 : <광기의 역사>, 판옵티콘=검사&시험, 

'인간 > 교육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교육사] 한국교육사  (0) 2025.04.13
[교육사] 서양 교육사  (1) 2025.04.13
[교육경영]  (0) 2025.04.06
[평생교육]  (0) 2025.04.06
[생활지도]  (0) 2025.03.23
'인간/교육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교육사] 한국교육사
  • [교육사] 서양 교육사
  • [교육경영]
  • [평생교육]
쿠_
쿠_
현재 살아있음 내일도 살아있고 내년도 살아있음 그 후로도 살아있을 예정
  • 쿠_
    살아있음
    쿠_
  • 전체
    오늘
    어제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55)
      • 인간 (46)
        • 공부 (5)
        • 기타 (18)
        • 한국사 (9)
        • 교육학 (14)
      • 사물 (9)
        • 책 (2)
        • 피규어 (4)
        • 인형 (0)
        • 게임 (3)
      • 소비기록 (0)
  • 블로그 메뉴

    • 홈
    • 태그
    • 방명록
  • 링크

  • 공지사항

  • 인기 글

  • 태그

  • 최근 댓글

  • 최근 글

  • hELLO· Designed By정상우.v4.10.0
쿠_
[교육철학]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