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고대(그리스, 로마)
-스파르타 : 국가주의, 군인 양성이 목표, 지식교육 경시, 여성교육 중시
-아테네 : 자유주의, 시민 양성이 목표, 지식교육 중시, 여성교육 소홀, 김나지움(공공체육관)
-소크라테스
- 소피스트 비판
- 지성발달이 도덕성 발달에 선행
- 이성 계발을 통한 진리 회상
- 질문법(산파법)
-플라톤
- 동굴의 비유, 이데아
- 계급에 따른 교육 : 철학자(변증법, 수사학), 군인(군사훈련, 자유교양교육), 생산자(체육, 3R)
-아리스토텔레스
- 경험 중시
- 7가지 자유교양 교육
- 목적론적 세계관 (도토리와 참나무)
- 행복한 삶 추구 : 지성과 덕성 계발 (지성과 도덕성은 위계가 같음)
-로마시대 교육
- 왕정시대 : 부모가 절대적인 권한을 가짐
- 공화정시대 : 국가의 역할 강화, 학교의 점진적 발달
- 재정시대 : 문자학교(3R) > 문법학교(자유교양교육) > 수사/법률/철학 학교
- 키케로 : 교육의 목적은 웅변술에 능한 사람을 길러내는 것
*중세
-전기
- 교회 주도 (신의 시대)
- 문답학교 > 고등 문답학교 > 본산학교 > 수도원 학교
-후기 (십자군 이후)
- 교회의 지위 하락
- 상공업 발달로 인한 부르주아의 등장 : 시민교육의 시작
- 시민학교 : 시민계급(하류층), 귀족계급(상류층)의 복선형 학제
- 시민학교 - 시민계급 : 습자학교, 조합학교
- 시민학교 - 귀족계급 : 라틴어 학교, 문법학교, 공립학교(영국 사립학교)
- 대학 설립 배경 : 스콜라 철학의 발달 + 십자군을 통한 실용적 학문의 유입 + 전문인력 수요 증가
- 대학의 성립 : 교수와 학생들의 연합(길드)로 시작, 유럽 남부에서 북부로 /cf.조합학교는 대학발달 원인 아님
- 대학 운영 : 고도의 자치권 부여
-종교개혁
- 교육의 보편화 : 번역한 성서를 읽을 수 있도록 문해 교육 활발
- 교육의 세속화 : 칼뱅 직업 소명설
*근대
-인간의 이성을 긍정적으로 생각
-르네상스(고대 회귀) : 인문주의 교육(고대 그리스 자유교양교육) > 고전교육 강조(소플아+수사학)
-인문주의
- 개인적 인문주의 : 극단적으로 키케로 인문주의도 나타남
- 사회적 인문주의
-실학주의
- 현실 탐구를 통한 진리도달(아리스토텔레스)
- 인문적 실학주의 : 현실 이해를 위한 고전학습
- 사회적 실학주의 : 여행 > 사회생활(신사) /cf.수학여행
- 감각적 실학주의 : 베이컨(실물을 직접 경험), 코메니우스(<대교수학>:교수법 정리, <언어입문>+<세계도회>:시각자료 활용, 합자연의 원리, 단선형 학제)
-자연주의
루소 : <에밀>, 합자연의 원리, 소극적 교육(잠재력 발현, 흥미), 경험중심 교육
-신인문주의
- 인문주의의 단점을 보완하려고 노력
- 낭만주의, 민족주의, 계발주의(인문주의+자연주의)
- 페스탈로치 : 노작교육, 루소 계승, 도덕성 발달(3H)
- 프뢰벨 : 노작교육, 은물학습, 놀이의 원리
- 헤르바르트
- 근대 교육학 체계 정립
- <일반교육학>:목표는 철학, 방법은 심리학(타일러 합리모형)
- 표상능력, 5도념
- 비교육적 교수/교육적 교수
- 4단계 교수법 : 전심(명료화, 비교) + 치사(체계화, 응용)
계몽주의 : 합리주의, 주지주의, 보편주의(초국가주의)
신인문주의 : 낭만주의, 민족주의
*공교육체계 과정
-성립 배경 : 종교개혁, 시민혁명, 산업혁명(드리븐, 클라크), 국가주의(벤딕스)
-독일 : 고타 교육령, 교육은 국가의 일, 피히테<독일국민에게 고함>(국가재건을 위한 교육, 노동가치 인식)
-프랑스 : 라 샬로테<국민교육론>(교육권=기본권), 종교교육X, 무상교육
-영국 : 아담 스미스<국부론>(생산성을 위한 투자), 국가교육 연맹(의무무상교육 운동)
-미국 : 메사추세츠 교육령
-유럽은 복선형>단선형 학제
-미국은 복선형 학제가 존재한 역사가 없음
*공교육 성립의 기초
-고타 교육령
- 독일, 1642
- 시행령 : 구체적 제시
- 세계 최초의 의무 교육령
- 루터파 계신교 영향
-메사추세츠 교육령
- 미국, 1642
- 법령 : 기본 원칙
- 무상교육 실시 규정
- 칼뱅파 청교도 영향